김영주 (195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주(1955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지역구에서 4선을 역임했다. 서울신탁은행 여자 실업농구단 선수,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 여성부장 등을 거쳐 정치에 입문하여, 새천년민주당과 열린우리당, 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17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 제19, 20,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영등포구 갑에서 당선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2024년 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합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구 (서울) 출신 - 김남근
김남근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에 합격, 참여연대와 민변 등 시민운동을 거쳐 다수 정부기관 자문위원 및 위원장을 역임하고 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성북구 을)으로 당선되어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과 더불어민주당 주요 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중구 (서울) 출신 - 조정식 (정치인)
조정식은 대한민국 6선 국회의원이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제정구 의원, 이부영 의원 보좌관을 거쳐 2004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새정치민주연합 사무총장,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 이재갑 (공무원)
이재갑은 행정고시 합격 후 노동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을 추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 박재완 (1955년)
박재완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무직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국회의원을 거쳐 이명박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하고 퇴임 후에는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 무학여자중학교 동문 - 임예진
임예진은 1974년 영화 《파계》로 데뷔하여 영화 《여고 졸업반》으로 대종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며 청춘 스타로 발돋움했고, 이후 영화와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다. - 무학여자중학교 동문 - 박정수 (배우)
1972년 MBC 5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박정수는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MBC 연기대상 신인상을 수상했으나 결혼 후 은퇴했다가 1992년 복귀하여 세련된 이미지로 중견 배우로서 확고한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영주 (195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김영주 |
출생일 | 1955년 7월 27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소속 정당 | 국민의힘 (2024년–현재) |
이전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2015년–2024년) |
학력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강대학교 |
국회 정보 | |
직책 | 국회부의장 |
임기 시작 | 2022년 7월 4일 |
임기 종료 | 2024년 5월 5일 |
이전 국회부의장 | 김상희 |
공동 국회부의장 | 정진석 (2022년) 정우택 (2022년-2024년) |
국회의원 | 국회의원 |
국회의원 임기 시작 (1) | 2004년 5월 30일 |
국회의원 임기 종료 (1) | 2008년 5월 29일 |
국회의원 임기 시작 (2) | 2012년 5월 30일 |
국회의원 지역구 (1) | 비례대표 |
국회의원 지역구 (2) | 영등포구 갑 (서울특별시) |
이전 국회의원 (1) | 이재갑 |
장관 정보 | |
직책 | 고용노동부 장관 |
임기 시작 | 2017년 8월 14일 |
임기 종료 | 2018년 9월 21일 |
대통령 | 문재인 |
국무총리 | 이낙연 |
기타 경력 | |
주요 경력 | 서울신탁은행 여자 실업농구단 선수 새천년민주당 노동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새천년민주당 시민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 제17·19·20·21대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 열린우리당 사무부총장 열린우리당 스포츠복지행정위원 열린우리당 전국여성위원장 대통합민주신당 스포츠문화복지행정위원 통합민주당 상임위원 통합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민주당 전임위원 민주통합당 중앙행정위원 민주통합당 당무위원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부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중앙행정자치연대위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
웹사이트 | 블로그 |
2. 학력
3. 경력
김영주는 서울신탁은행 여자 실업농구단 선수로 활동했다.[5] 1988년부터 1999년까지 노동 운동에 참여했으며, 2000년부터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까지 4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2017년에는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냈으며,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했다. 2024년에는 국민의힘에 합류했다.
상세한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책 |
---|---|
서울신탁은행 여자 실업농구단 선수 | |
1988년 2월 ~ 1989년 11월 |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 여성부장 |
1990년 11월 ~ 1992년 9월 | 서울신탁은행노동조합 정책연구실장 |
1995년 11월 ~ 1999년 2월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연맹(금융노련) 상임부위원장 |
1998년 4월 ~ 2001년 4월 | 서울지방노동청 고용평등위원회 근로자위원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노동복지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시민사회위원회 부위원장 |
2002년 | 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국민참여운동본부 부본부장 |
2003년 1월 ~ 2월 | 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자문위원 |
2003년 | 청와대 노동TㆍF팀 자문위원 |
2004년 4월 15일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비례대표, 열린우리당), 초선 |
2004년 10월 | 제17대 국회 열린우리당 정책담당 원내부대표 |
2006년 1월 | 열린우리당 스포츠복지행정위원 |
2006년 3월 | 열린우리당 재정담당 사무부총장, 열린우리당 전국여성위원장 |
2007년 8월 | 대통합민주신당 스포츠문화복지행정위원 |
2008년 2월 ~ 6월 | 통합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
2008년 3월 ~ 4월 |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권한대행 |
2008년 6월 ~ 7월 |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
2008년 4월 | 통합민주당 상임위원 |
2008년 ~ 2011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09년 | 민주당 전임위원 |
2011년 | 민주통합당 중앙행정위원, 친환경무상급식 시행 위한 나쁜투표거부 영등포구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위원장,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무소속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영등포구 선거대책본부 상임공동본부장, 영등포구 교육환경개선 학부모포럼 고문, 영등포구 태권도협회 고문 |
2011년 ~ 2013년 | 민주통합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월 | 민주통합당 당무위원회 위원 |
2012년 4월 11일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서울 영등포구 갑, 민주통합당), 재선 |
2013년 1월 ~ 5월 |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비서실장 |
2013년 ~ 2014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3년 | 민주당 중앙대표상임고문 |
2014년 | 새정치민주연합 선거관리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자치연대위원 |
2014년 ~ 2015년 | 새정치민주연합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5년 2월 ~ 2024년 2월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6년 4월 13일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서울 영등포구 갑, 더불어민주당), 3선 |
2016년 8월 ~ 2017년 8월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
2016년 8월 ~ 2017년 7월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2017년 4월 ~ 5월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공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조직특보단장 |
2017년 8월 ~ 2018년 9월 | 제6대 고용노동부 장관[5] |
2017년 ~ 2018년 |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당연직위원 |
2020년 4월 15일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서울 영등포구 갑, 더불어민주당), 4선 |
2020년 9월 |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장 | |
2022년 7월 ~ 2024년 5월 |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
2023년 1월 ~ 2024년 3월 |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공동위원장 |
2024년 5월 ~ |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당원협의회 위원장 |
3. 1. 노동 운동 경력 (1988년 ~ 1999년)
김영주는 서울신탁은행 여자 실업농구단 선수로 활동하다가 노동 운동에 참여했다. 1988년 2월부터 1989년 11월까지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 여성부장을, 1990년 11월부터 1992년 9월까지 서울신탁은행노동조합 정책연구실장을 역임했다. 1995년 11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연맹(금융노련) 상임부위원장을 맡았으며, 1998년 4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지방노동청 고용평등위원회 근로자위원으로 활동했다.3. 2. 정치 경력 (2000년 ~ 현재)
연도 | 직책 |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노동복지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시민사회위원회 부위원장 |
2002년 | 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국민참여운동본부 부본부장 |
2003년 1월 ~ 2월 | 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자문위원 |
2003년 | 청와대 노동TㆍF팀 자문위원 |
2004년 4월 15일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비례대표, 열린우리당), 초선 |
2004년 10월 | 제17대 국회 열린우리당 정책담당 원내부대표 |
2006년 1월 | 열린우리당 스포츠복지행정위원 |
2006년 3월 | 열린우리당 재정담당 사무부총장, 열린우리당 전국여성위원장 |
2007년 8월 | 대통합민주신당 스포츠문화복지행정위원 |
2008년 2월 ~ 6월 | 통합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
2008년 3월 ~ 4월 |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권한대행 |
2008년 6월 ~ 7월 | 통합민주당 사무총장 |
2008년 4월 | 통합민주당 상임위원 |
2008년 ~ 2011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09년 | 민주당 전임위원 |
2011년 | 민주통합당 중앙행정위원, 친환경무상급식 시행 위한 나쁜투표거부 영등포구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위원장,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무소속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영등포구 선거대책본부 상임공동본부장, 영등포구 교육환경개선 학부모포럼 고문, 영등포구 태권도협회 고문 |
2011년 ~ 2013년 | 민주통합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월 | 민주통합당 당무위원회 위원 |
2012년 4월 11일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서울 영등포구 갑, 민주통합당), 재선 |
2013년 1월 ~ 5월 |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비서실장 |
2013년 ~ 2014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3년 | 민주당 중앙대표상임고문 |
2014년 | 새정치민주연합 선거관리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자치연대위원 |
2014년 ~ 2015년 | 새정치민주연합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5년 2월 ~ 2024년 2월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6년 4월 13일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서울 영등포구 갑, 더불어민주당), 3선 |
2016년 8월 ~ 2017년 8월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
2016년 8월 ~ 2017년 7월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2017년 4월 ~ 5월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공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조직특보단장 |
2017년 8월 ~ 2018년 9월 | 제6대 고용노동부 장관[5] |
2017년 ~ 2018년 |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당연직위원 |
2020년 4월 15일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서울 영등포구 갑, 더불어민주당), 4선 |
2020년 9월 |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특별위원장 | |
2022년 7월 ~ 2024년 5월 |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
2023년 1월 ~ 2024년 3월 |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공동위원장 |
2024년 5월 ~ |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당원협의회 위원장 |
- 문재인 대통령의 첫 번째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장관 재직 기간 동안 추진했던 '주당 근로시간 단축 및 최저임금 인상' 정책에 대해 야당과 언론의 강한 비판에 직면한 후 사임했다.[5]
- 2024년 2월 19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합류했다.[6]
3. 3. 국회의원 의정 활동 (2004년 ~ 2024년)
2000년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하여 노동복지특별위원회와 시민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2002년에는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국민참여운동본부 부본부장으로 활동했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자문위원을 지냈다. 청와대 노동TㆍF팀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했다.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했다. 열린우리당 정책담당 원내부대표, 재정담당 사무부총장, 전국여성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7년에는 대통합민주신당 스포츠문화복지행정위원을 지냈다.
2008년 통합민주당 수석사무부총장, 사무총장 권한대행, 사무총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이후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2008년~2011년), 민주통합당 중앙행정위원(2011년)을 지냈다.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영등포구 선거대책본부 상임공동본부장을 맡았다.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에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비서실장(2013년)을 거쳐 민주당 중앙대표상임고문(2013년)을 지냈다.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후 선거관리위원회 부위원장과 중앙행정자치연대위원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에 출마하여 3선 고지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2016년~2017년)과 최고위원(2016년~2017년)을 역임했다.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문재인 후보 공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조직특보단장을 맡았고, 이후 고용노동부 장관(2017년~2018년)을 지냈다.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에 출마하여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문화예술특별위원장을 역임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2024년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당원협의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2004 | 비례대표 | 열린우리당 | 8,145,824 | 38.26% | 당선(초선)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2012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 민주통합당 | 52,232 | 52.87% | 당선(재선)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201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 더불어민주당 | 49,935 | 45.28% | 당선(3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2020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 더불어민주당 | 72,445 | 56.2% | 당선(4선) |
3. 3. 1. 제17대 국회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초선)으로 제17대 국회에 입성하였다. 제17대 국회에서 운영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3. 3. 2. 제19대 국회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김영주는 2012년 5월 30일부터 2016년 5월 29일까지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재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2012년 7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제19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간사 및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을, 2014년 6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제19대 국회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3. 3. 3. 제20대 국회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더불어민주당 영등포구 갑 국회의원(3선)으로 제20대 국회에 참여했다.-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 2018년 7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3. 3. 4. 제21대 국회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020년 5월 30일부터 2024년 5월 29일까지 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더불어민주당→무소속→국민의힘, 4선)을 역임했다.제21대 국회 전반기에는 외교통일위원회 위원(2020년 6월 ~ 2022년 5월),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 구성의원(2020년 7월 ~ 2024년 5월), 한-중남미 의회외교포럼 회장(2020년 11월 ~ 2024년 5월)을 역임했다. 제21대 국회 후반기에는 국회부의장(2022년 7월 ~ 2024년 5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2022년 7월 ~ 2023년 6월), 보건복지위원회 위원(2023년 6월 ~ 2024년 5월)을 역임했다.
2024년 2월 19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합류했다. 이로써 국회 부의장은 각 당 1명이 아닌 같은 당 소속 2명이 맡게 되었다.[6]
4. 포상 및 수상
제17대 국회 최우수 국회의원 (한국여성유권자 연맹 선정)
법률소비자연맹 국회의원 헌정대상
서강경제대상 사회경제인부문
법률소비자연맹 국회의원 헌정대상
지방자치TV 대한기자협회 대한민국 의정대상